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선측 구조, 늑골 종류 정리 1. 선측 구조란 선박의 종강도를 유지. 선측에서 수압과 선박의 동요에 의해 생기는 창내 화물에 의한 수평 방향의 힘에 견뎌야 하고, 갑판 위의 화물이나 갑판 위를 덮치는 풍파에 의한 수직 방향의 자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한 겹의 구조로 되어있으나 이중저 같은 두 겹의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2. 선측 구조의 주요 부재, 늑골 • 늑골 frame 외판을 보강하는 구조 부재. 용골에 직각으로 배치된 골격으로 선체의 횡조직의 중요한 부재가 된다. 위치에 따라 선저늑골, 선측늑골 (늑골 : 보통 늑골, 선창에 배치된 최하층의 늑골 : hold frame, 그 위의 늑골 : 갑판 간 늑골 tween deck frame)이 있다. • 늑골 간격 frame space 늑골을 구성하는 형강의 배면으로부터.. 2021. 10. 14.
선저 구조 구성과 부재 종류(단저 구조, 이중저 구조) 1. 단저 구조 구성과 부재 선저의 수압이나 창내 화물의 중량에 의한 굽힘에 견디어내야 하며, 천체의 종강도와 횡강도를 주는 중요한 구조이다. 단저구조와 이중저 구조가 있다. - 단저 구조 single bottom 선저에 외판 하나로만 이루어진 1중저 구조 單底 길이 100m 미만인 소형선 등 특수선에 채용. 선저회판의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늑판, 종방향으로 내용골을 여러 개 설치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외판과 함께 선저부의 강도를 유지한다. • 선저 외판(bottom plating) 평판 용골에 연결되는 외판(방형 용골의 경우에는 용골 익판에 연결되는 외판)에서 만곡부 상단까지의 외판을 말한다. • 늑판(floor plate) 선저는 높은 수압을 받고, 좌초시 손상을 받기 쉬운 부분이므로 견고한 구조가 요구.. 2021. 10. 13.
선박의 추진, 조종 성능 타(rudder)키 의 모든 것 1. 타, rudder, 키 란? 선박의 진행 방향을 바꾸거나 진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 주로 선박의 후단의 선체 중심선에 설치. 선박의 회전력은 타판 rudder plate을 타두재 주위로 회전시켜서 타판에 닿는 수압에 의하여 얻는다. 선박의 조종 성능과 추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모양에 의한 분류로 불평형타, 평형타, 반평형타, 현수타 가 있고, 구조에 의한 분류로 단판타, 복판타 가 있다. 밑에 가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타의 구조는 키는 키 본체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rudder head로 구성. rudder head 윗부분은 tiller가 설치되어 있고 조타 기관에 의하여 틸러를 작용시켜 키 를 회전한다. 타 면적은 키의 한쪽 면의 면적. 배의 종류, 선형, 속력 .. 2021. 10. 12.
선체 구조의 모든 것 1-5 1. 선미 구조 형상 외력에 대해 충분히 견고한 구조로 최우단에 선미 골재 stern frame, 앞쪽의 선미 격벽과 사이에는 afterpeak tank로 되어있어 ballast tank로 이용된다. 이 tank위의 판에 rudder를 움직이는 steering gear room을 설치한다. 선미 형상으로는 타원형 선미와 순양함 형 선미가 있고, 선미 돌출부 counter는 선미재에서 후방으로 튀어나온 부분으로 선체의 부력을 증가시키고 갑판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 타원형 선미 elliptical stern, counter stern, knuckle stern 가장 오래된 선미 형상. 범선에서 사용하던 것. 상선에서 많이 채용된다. • 순양함형 선미 cruiser stern 군함에서 많이 이용.. 2021.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