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선박의 종류 1-2(추진기에 의한 분류, 기관실 위치에 의한 분류, 벌크선, 유조선 크기 별 명칭 등등) 1. 추진기에 의한 분류 추진기는 비행기나 ship에서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ship은 축계(프로펠러 등)를 통해 전달되는 추진력을 이용해 배를 앞으로 나가거나, 후진시키는 장치이다. ship의 추진기로는 외륜선, 스크루 프로펠러선, 물 분사 추진기, 호버 크라프트, 수중익선, 워터제트 추진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나선형 프로펠러(propeller)가 높은 추력과 효율이 높아 대부분의 ship에서 사용되며 propeller 수가 2~6의 날개를 가진 것도 있다. 이것을 회전시켜 ship이 추진되는 것이다. 그 외의 추진기는 가격이 많이 나가 경제성이 떨어져서 특수 선박에서 사용이 된다.그중 몇 개를 더 살펴보면 외륜선은 원동기에 의해 바퀴 모양의 추진기인 외륜을 회전시켜 항해하는 shi.. 2021. 9. 26.
선박의 종류 1-1, 상선, 여객선, 화물선, 어선, 특수선 선박의 종류는 사용 목적, 선체 사용재료, ship의 추진방식 및 선체의 외형 등 여러 관점에서 분류가 가능하다. 보통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를 할 수가 있다. 물건이나 사람을 옮기거나, 특수목적에 쓰이는 것 등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다. 크게 4가지 상선, 어선, 특수선, 군함으로 나눌 수가 있다. 상선은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해 거기에서 발생하는 운임수익을 목적으로 운항하는 선박이며 여객선, 화객선 및 화물선으로 구분한다. 1. 여객선 여객선은 대표적으로 페리선과 크루즈선이 있다. 페리선은 관광을 목적으로 여러 항구를 돌아다니며 크루즈선과 달리 승객을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여객선이다. 동일 구간을 시간표에 따라 운항하는 정기여객선의 형태로 운항되며 제주도를 시간표.. 2021. 9. 25.
선박의 정의, 선박의 구성, 선박의 역사 1. 선박의 정의 선박이란? 사람 또는 물건을 싣고 물에서 항행하는 구조물, 물에 뜨는 장비이다. 즉 선박은 물에 뜰 수 있는 부양성, 여객이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성, 그리고 적재된 것을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이동성 3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해사 법규에서는 적용 목적에 따라 선박을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해상법에서는 상행위를 비롯한 기타 영리를 목적으로 항행에 사용되는 것을 선박이라고 정의한다. 선박법에서는 부양력을 가지는 구조물로 사람 또는 물건의 적재 능력 및 바다를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선박이라고 정의한다. 해상 교통법에서는 수상 운송수단으로 제공 또는 제공될 수 있는 가동력을 총칭해 선박이라고 정의한다. 선박은 6가지 기능으로 세분화할 수가 있다. 부양 기능(배는 짐을 싣고.. 2021.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