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측 구조, 늑골 종류 정리

by 리하하 2021. 10. 14.
반응형

1. 선측 구조란

선박의 종강도를 유지. 선측에서 수압과 선박의 동요에 의해 생기는 창내 화물에 의한 수평 방향의 힘에 견뎌야 하고, 갑판 위의 화물이나 갑판 위를 덮치는 풍파에 의한 수직 방향의 자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한 겹의 구조로 되어있으나 이중저 같은 두 겹의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2. 선측 구조의 주요 부재, 늑골

• 늑골 frame

외판을 보강하는 구조 부재. 용골에 직각으로 배치된 골격으로 선체의 횡조직의 중요한 부재가 된다. 위치에 따라 선저늑골, 선측늑골 (늑골 : 보통 늑골, 선창에 배치된 최하층의 늑골 : hold frame, 그 위의 늑골 : 갑판 간 늑골 tween deck frame)이 있다.

• 늑골 간격 frame space

늑골을 구성하는 형강의 배면으로부터 다음 늑골의 배면까지의 거리. 표준 값으로는 횡늑골의 표준 간격 : S=2L + 450(mm), 종늑골의 표준 간격 : S=2L + 550 (mm)이다. L은 선박의 길이이며 늑골 간격은 1m를 넘지 않아야 한다.

• 늑골의 종류와 구조

- solid frame : 하나의 형강으로 만든 늑골

- built-up frame : 두 개 이상의 평강을 T형 등과 같이 조립하여 만든 늑골, 비교적 강 력한 늑골.

- web frame : 보통의 단재 늑골이란 조립 늑골만으로는 횡강도가 불충분한 곳에 특별 히 설치하는 강력한 조립 늑골 -  - Inner bottom longitudinal frame : 내저판의 길이 방향의 보강재

- 선저 종늑골 : 선저 외판의 길이 방향의 보강재

- 선창내 횡늑골 : 선수 격벽으로부터 선미 격벽까지 사이의 기관실을 포함한 부분에서 선저 만곡부로부터 최하층 갑판하의 늑골을 말하고, 선측 종늑골은 종늑골 중에서 선 측부에 있는 늑골

- 선측 종늑골 : 종늑골 중에서 선측부에 있는 늑골. 가능한 한 횡격벽을 관통시켜서 강 도의 연속성을 유지해야 하지만 횡격벽 앞에서 절단될 경우에는 강도의 연속성을 충 분히 유지할 수 있는 브래킷으로서 횡격벽에 견고하게 고착시켜야 한다.

- 갑판 사이 늑골 : 최하증 갑판과 건현 갑판의 사이, 또는 선루 갑판과의 사이 등 각 갑판 사이에 있는 늑골. 선창내 횡늑골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선창 내 횡늑골 과 일체가 되어 선저에서 선체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강도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선수미부 늑골은 선수미창 내에 설치되는 늑골로서, 선수미부의 파랑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팬팅 구조의 일부이다.

• 단재늑골, 조립 늑골

- solid frame : 단일 압연 형강으로 만든 늑골. 

- built-up frame : 평강을 T형, L형으로 용접하여 만든 늑골. 늑골 과거 리벳식 횡늑골에서는 외판에 붙이는 정늑골 main frame과 배의 내측에 있는 부 늑골 reverse frame이 겹쳐 하나의 조립 늑골을 이룸 현재는 용접으로 조립하고, 리벳용 flange가 생략되므로 부등변 앵글의 긴 플랜지 끝을 외판에 용접-선체 중량 감소, 강도도 비교적 증대, 최근 많이 사용된다.

• 특설 늑골 web frame

보통 늑골만으로는 횡강도가 불충분한 곳에 특별히 설치하는 강력한 조립 늑골. 기관실, 중량화물 적재 선창, 긴 창구를 가 지는 선창 등에 보통 늑골 간격으로 특설 보 strong beam와 결합하여 강력한 선체의 횡강력 구성재를 이룬다. Web 판 내측에 面材 face bar를 이루고 선측 스트링거 side stringer와 함께 외판에 고착. Side stringer는 한 줄에 한정돼 는 것이 아니고 두세 줄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어느 경우나 보통 늑골을 중간에 서 지지하며, 특설 늑골은 다시 그 side stringer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특설늑골

• 선창 늑골

선수 격벽에서 선미 격벽까지의 사이, 선저 만곡부에서 최하층 갑판까지 이르는 늑골들. 크기는 늑골 간격, 만재흘수, 선창 내 깊이, 최하층 갑판에서 상갑판까지의 높이, 선루의 유무 등에 의하여 결정. 하단은 이중저 선측 bracket으로 이중저의 마진판 또는 단저의 늑판에 결합되고, 상단은 beam bracket에 의하여 갑판 및 갑판보 deck beam에 고착. 최하층 갑판보가 없을 때는 beam bracket과 같은 bracket으로 갑판의 deck stringer에 고착하고, 늑골 정부의 갑판이 종식구조 인 경우에는 beam bracket을 인접 종 beam 까지 연장하여 고착한다.

• 갑판간 늑골

최하층 갑판과 건현 갑판 사이, 또 그 위쪽의 선루갑판과의 사이 등 각 갑판 사이의 늑골들. 하방의 늑골을 연장한 것이라 볼 수 있으므로 갑판의 위치에다 소형의 갑판간 늑골을 접합시킨다. 특히, 선루 늑골은 그 아래 늑골의 위치마다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늑골의 접합 방법은 상하 늑골 사이에 용접 이음재를 넣어 상부 늑골의 끝을 하부 늑골의 안쪽에 넣어 겹쳐서 결합하고 상하 늑골을 직접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