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hange over valve
- 용도
change over valve는 주로 합섬 계통에서 원료의 방향 바꿈 등의 사용 용도로써 많이 사용된다.
- 원리
2개의 글로브 valve를 밸브 하나로 기능을 통합한 valve로 입구 측 밸브와 출구 측 밸브가 서로 change over 하면서 유체 흐름을 변경하는 것이다.
- 효과
이러한 valve를 쓸 경우 기존의 2개 글로브 밸브, 1개의 티이, 2개의 엘보, 4개의 플랜지, 9개의 용접량을 1개의 change over 밸브, 단지 3개의 용접량으로 pipe 공사비를 줄일 뿐 아니라 운전조작의 통합 간편 성과 설치 공간의 대폭 축소로 인한 경제적 이익은 매우 크다.
- 그 외
체인지오버 valve와 대응하는 밸브 형식으로 3-way 밸브를 들 수 있다. 3-Way 밸브는 두 개의 포트를 가진 valve로써 사용 목적은 유로 흐름을 변경(Diverting or Change-over)하는 것과, 두 개 유로의 유체를 섞어 한 측으로 보내는 것(Mixing) 및 유로 흐름을 분리하는 구조(Splitting) 등 세 가지 목적에 쓰인다. 이 세 가지 목적 별로 밸브의 disk 형상 및 시트 구조는 각기 판이하게 다르다.
2. QUICK CLOSING V/V
- quick closing valve
- 정의: QCV (Quick Closing Valve)라고 불리고 비상시 자동으로 신속히 차단하는 valve이다.
- 용도: 선박의 화재 발생 시 기계류 및 배관에 화재 손상이 발생하여 기관실 저판상부에 위치한 기름탱크의 기름이 누출되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된다.
- 긴급차단 밸브 (Emergency Shut-off V/V)
- 기능: 충전소에 설치된 긴급 차단 valve는 저장탱크의 송출측 의 pipe전단 또는 회전식 충전기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긴급을 요하는 상황발생시 저장 tank 및 송출 측 배관 내 gas의 대량 유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구조: Air실린더 내부에는 공기압에 의해서 실린더가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되어있다. valve의 개/폐는 포트(그림의 연두색)가 실린더 중심축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의 위,아래 운동에 따라 움직인다.
문 제 점 | 원 인 | 조 치 방 법 |
밸브의 차단되는 시간이 느리다. | 밸브와 작동밸브 간의 거리가 멀거나 Air배 관이 눌려있는 상태 |
Air 배관을 15A 이상의 구경으로 교체하여 시공한다. |
밸브가 움직이지 않는다. | 실린더 내부에 이물 질이 끼어있는 상태 |
실린더를 분해 조립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
3. 그외 valve
- foot valve
- 정의: 흡입관에 붙어 역류를 방지하는 수직형 체크 밸브로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를 부착한다
- storm valve
- 정의: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 cock valve
- 정의: 테이퍼 또는 평행 모양의 밸브 시트를 가진 몸체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는 마개가 들어 있는 유체 차단 기기의 총칭한다.
- 기능: 마개를 90°또는 그 이하로 회전시켜 개폐를 한다.
- strainer
- 기능: 유체 내에 함유된 이물질이 압축설비나 충전설비, 송출설비 등으로 들어가 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비 전단에 설치한다.
- 구조: valve는 특성상 이물질이 잘 걸러지며, 분리 시 다시 valve내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밑으로 향해 있다.
- 원리: 유체가 strainer의 흡입 측 망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은 걸러지고 순수한 유체만 흐르게 된다.
- 관리: 6개월에 한 번 주기로 청소하고 strainer 망이 이물질에 의해 손상된 것은 교체한다.
- 용어 해설
- 단좌형 (Single seated type): 1개의 valve 시트로 흐름을 개폐 또는 조정하는 형식
- 개도(Valve travel, vale lift): 밸브 disk의 임의 이동량(회전 각도, 트래블, 리프트 등) 또는 valve 디스크의 전체 이동량과의 비율
- Diaphragm : 격막
- Sewage Line : 하수관
- Steam hammer: steam 배관에는 크게 응축수(액체)와 증기(기체)가 동시에 존재한다. (스팀의 밀도가 1,670배가 큼) 밀도차에 의해 응축수는 pipe 하부에 그리고 steam는 배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pipe에 증기가 공급된 압력을 가지게 되면 압력차에 의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둘의 속도 비교를 하도록 하면 응축수는 정지되어 있고 스팀이 빠르게 지나간다. (단, 압력의 이동은 고압에서 저압으로 이동됨)
※ MACHANISM
스팀이 지나감 → 정압이 감소 → 응축수가 스팀 쪽으로 이동함 → 스팀이 통과해야 되는 사이즈가 적어지게 됨(응축수로 일부가 채워짐) → 스팀의 속도가 더욱 빨라짐 → 정압이 더욱 감소 → 더욱더 많은 응축수가 스팀 쪽으로 이동 → 계속 반복 → 배관이 응축수로 꽉 차게 됨 → 응축수가 스팀의 속도로 이동하게 됨 → 밸브 관의 곡관부를 만나면 꽝하는 water hammer가 발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