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은 안정성을 갖기 위해 적당한 큰 폭, 효율이 높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폭이 좁을수록 좋다. 상자 모양의 선박은 운항비가 많이 들지만, 폭이 좁고 긴 선박은 건조비가 저렴하다. 좋은 선박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들을 융합시켜야 한다. 배를 등록시키기 위해 필요한 치수로 길이, 폭, 깊이 및 흘수가 있다.
1. 선박의 길이
선박의 길이에는 위 사진과 같이 전장, 수선간 길이(수선간장), 수선 길이(수선장), 등록 길이(등록장), 건현용 길이 등등이 있다. 전장은 전체 길이를 말하며, 선박의 맨 앞쪽에서 맨 뒤쪽까지의 수평거리로 선체에 고정적으로 부속된 모든 돌출물을 포함한다. 이 길이는 안벽계류(붙잡아 매워 놓음) 또는 입거시 사용되는 길이이다. 수선간 길이(수선간장)는 선수 수선(만재흘수선과 선수재의 전면이 만나는 점)과 수미 수선(만재흘수선과 타주의 후면이 만나는 곳에서 수직선, 타주가 없는 경우 타두재의 중심선과 만나는 곳에서 수직선) 사이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순양함형 선미를 가진 선박은 선미의 돌출부가 길어서, 만재 흘수선상의 수선길이의 96%와 수선간 길이를 비교해 긴 쪽을 수선간장으로 정한다. 보통 수선간의 길이(수선간장)은 수선길이(수선장)의 98%정도 이다. 수선길이는 만재흘수선에서 선수의 전장으로부터 선미의 후단까지의 수평 거리를 말한다. 등록 길이는 선박 법규에 따라 선박 원부에 등록하는 길이이며, 상갑판 보의 상면의 연장선과 선수재 전면과의 만나는 점에서 선미재 후면에 이르는 수평거리를 말한다.
2. 선박의 폭
선체의 가장 폭이 넓은 부분에서 늑골 바깥면 사이의 수평거리를 가리킨다. 전 폭은 선체의 최대 폭에서, 외판의 외면에서 반대쪽 외판의 외면까지의 수평거리로 입거 시 이용된다. 형 폭은 선체의 가장 넓은 횡단면에서 선측 외판의 내면에서 반대쪽 외판의 내면까지 측정한 수평거리이다. 건현용 폭은 건현용 길이의 중앙에서 늑골의 외면에서 반대편 늑골 외면까지의 최대 수평거리를 말한다. 등록용 폭은 선박 원부에 등록하는 폭으로 선체 가장 넓은 부분의 횡단면에서 외판의 외측으로부터 반대 현의 외판 외측까지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3. 선박의 깊이 및 흘수
선박의 깊이는 형 깊이, 건현용 깊이 두 가지가 있는데 형 깊이는 선체 중앙에서 용골의 상면에서 상갑판 보의 현측 상면까지 측정한 수직거리이다. 건현용 깊이는 만재 흘수선 규정에서 건현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깊이이다. 보통 깊이라 함은 형 깊이를 뜻한다. 선박의 흘수는 선박의 흘수는 용골의 최하면에서 선체의 앞, 뒤방향을 선으로 연결해 그 선과 선수수선 또는 선미수선과의 교점으로부터, 이들 수선에 따라 위쪽으로 흘수선까지 잰 수직거리를 말한다. 즉 선체가 물속에 잠겨 있는 부분의 깊이이다. 형흘수는 용골의 상면에서 수면까지의 수직거리이며 만재흘수 표시할 때 필요한 흘수이다. 용골 흘수는 용골의 최하면에서 수면까지의 수직거리로 통칭 흘수 선박의 조종과 화물적재량을 계산할 때 필요하다. 만재흘수선이란 배가 항해할 때 안전을 유지하는 최대 흘수로, 만재흘수선을 표시해야 할 선박에서는 건현용길이의 중앙에서, 만재흘수선을 표시 안 하는 선박에서는 수선간 길이의 중앙에서의 각각 용골 윗면에서 계획 만재흘수선까지 측정한 수직거리를 말하며, 형흘수와 일치한다. 흘수표(draft mark)는 선수와 선미 또는 중앙 외부 양측 면에 선저로부터 초대 흘수 이상까지 매 200mm마다 100mm의 아라비아 숫자로 흘수를 표시하였고, 숫자의 하단이 그 숫자를 가리키는 흘수선이다. 흘수에는 선수 흘수, 선미 흘수, 중앙부 흘수, 평균 흘수(선수흘수와 선미 흘수의 평균값)가 있다. 아래 표를 보면 만재흘수선의 종류와 표시 기호를 볼 수가 있다.
만재흘수선 종류 | 건현 | 표시기호 | 적용구역 | 적용 계절, 기간 |
하기(L.W.L) | 하기건현 | S | 9 | 연중 |
1~8 | 여름철 | |||
동기(L.W.L) | 동기건현 | W | 2-서경 15도~50도에 쌓인 해면은 제외, 3458 | 겨울철 |
동기 북대서양 (Winter north atrantic) |
동기북대서양건현 | WNA | 1,2-서경15~50도에 쌓인 해면은 제외 | 겨울철 |
열대(Tropical) | 열대건현 | T | 6 | 연중 |
7 | 열대 | |||
하기 담수 (summer fresh water) |
하기담수건현 | F | 하기 만재흘수선의 항에 게시한 대역 내에 있는 비중 1,000의 수면 | 하기만재흘수선의 항에 게시한 계절 기간 |
열대 담수 (tropical fresh water) |
열대담수건현 | TF | 열대 만재흘수선의 항에 게시한 대역 또는 구역 내에 있는 비중 1,000의 수면 | 열대만재흘수선의 항에 게시한 계절 기간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