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체 구조 기본 용어 정리 2
• 단저 구조 single bottom construction
선저가 외판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100m 미만의 소형선에 많이 채용된다.
• 이중저 구조 double bottom construction
선저 외판의 안쪽에 수밀의 내저판 inner bottom plate을 설치하여 선저를 이중으로 한 구조. 그 공간은 연료유 탱크, 평형수 탱크 등으로 활용된다.
• 선루 superstructure
선측에서 선측에 이르거나 외판에서 0.04Bf 이내에 측벽을 가진 건현 갑판상의 상부 구조물이다. 선루갑판이란 선루의 상부 갑판을 말한다.
• 갑판실 deck house
측벽이 외판에서 0.04Bf 이상 떨어져 있는 건현 갑판상의 구조물
• 코퍼댐 cofferdam
화물유 탱크의 양끝이 연료유 탱크나 기관실 또는 일반 화물창과 접하면 유밀 격벽을 2개 인접하여 그 사이를 빈 공간으로 둔다.
• 선각의 판부재
선각을 구성하는 외부재는 선저외판 bottom plate, 선측외판side shell plate, 상갑판 upper deck plate가 있다. 평판 용골 (flat plate keel)은 선저외판 중에서 선체 종방향 중심선 상의 판. 다른 선저 외 판보다 두껍게 하는 경우가 많다. 현측후판(sheer strake)은 선측 외판 중에서 위의 부분이 상갑판 upper deck과 접합되는 부분이다. Deck stringer은 현측후판과 상갑판이 접합되는 상갑판의 현측부의 판이다. Gunwale angle은 현측후판과 deck stringer을 부착하는 부재이다.
• 강력 갑판 strength deck
선측 외판이 도달되는 최상층 갑판이 배의 길이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길이 이상으로 종통 하고 있을 경우에는 배의 종강도에 특히 중요한 부재가 되는 갑판. 일반적으로 최상층 전통갑판이 해당되나 상갑판 위의 선루갑판 superstructure deck 이 배의 길이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길이 이상 종통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선루 갑판 은 강력 갑판이 된다.
• 늑골, 늑판, beam늑판 : 선저 외판에 붙는 골재
- 늑골 : 선측 외판에 붙는 골재
- beam : 갑판을 지지하고 있는 골재
- deck girder : beam을 지지하는 종통재. (갑판 하 거더) 거더는 pillar라는 기둥으로 지지되는 경우가 많다.
- 격벽 bulkhead : 선박의 내부를 안전과 화물 적재의 편리함을 위해 여러 개의 구 획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구획의 벽을 bulkhead라 한다.
- 격벽판, 격벽 보강재 bulkhead stiffener 또는 girder로 구성 횡격 벽 transverse bulkhead 횡방향 종격벽 longitudinal bulkhead 선박 길이방향 선체구조 용어
• 선형
선수, 선미부는 중앙부와 달리 특수한 외력을 받으므로 구조가 중앙부와 다르다. 선수는 선수재 stem가 설치돼있고, 선미는 propeller, rudder를 지지하는 선미재 stern frame가 설치돼있다. 선루, 갑판실의 구조도 갑판, 외벽, 내벽 등의 갑판재와 지지하고 있는 beam, 보강재, 거더, 필러 등으로 구성돼있다.
2. 선체의 강도 부재의 배치
선체가 받는 힘을 이겨내려면 종강도, 횡강도, 국부 강도가 모두 필요하다. 선체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역할을 뚜렷하게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종강도부재 longitudinal strength member
종강도에 주로 기여하는 부재이다. 선수에서 선미까지 연속 종통 된 부재를 원칙으로 하나, 보통 종강도 부재는 배의 중 앙부에 상당한 길이 (배의 길이의 약 1/3)에 걸쳐 종통 되고, 또 그 사이에서 부재의 연속성이 충분히 유지되어 있어야 한다. 판재는 외판(선저 외판, 선측 후판, 현측 외판, 긴 선루의 선루 외판), 갑판(상갑판, 기타의 강력 갑판), 내저판(중심선 내저판), 횡격벽, 마진판(margin plate), 평판 용골(flat plate keel)이 있다. 골재는 중심선 거더(center girder), 옆 거더(side girder), 종늑골(longitudinal frame) 또는 선측 스트링거(side stringer), 종통보(lingitudinal beam), 갑판하거더(deck girder), 방형 용골(bar keel)
• 횡강도부재 transverse strength member
횡강도에 기여하는 부재. 횡단면 내에서 하나의 ring을 구성하는 부재. 이 ring을 이루는 부재인 갑판보, 늑골, 늑판, beam bracket 등에는 갑판이나 외판의 유효 폭을 가산하여 강도를 결정하여야 되므로, 엄밀히 말하면 갑판이나 외판의 일부도 횡강도 부재라 할 수 있다. 횡격벽(transverse bulkhead), 창내 늑골(hold frame) 및 특설 늑골(web frame), 갑판보 및 특설보(strong beam), beam bracket 및 이중저현측 브래킷 (tank side bracket), 늑판, 필러 및 특설 필러(widely space pillar)가 있다.
• 국부강도부재 local strength member
선체의 국부적인 외력에 대항하는 부재. 엄격히 선별하는 일은 곤란하다. 종강도 및 횡강도 부재에 수압, 파랑의 충격, 중량물 등의 외력을 받는 곳에 국부적으로 힘을 받기 때문이다. 선수재와 선미재는 선체의 구성 용소 중 중요한 요소이며, 국부 강도 부재라 할 수 있다.
3. 그외 선체 구성요소
• 용골 keel
선저의 중심선을 종통 하여 그 전부는 선수재에, 그 후부는 선미재에 결합되어 선체 종구조의 기초를 이루는 부재
• 외판 shell plating
선체의 선각을 구성하는 판의 총칭. 선저외판 bottom plating, 선측 외판 side shell plating
• 늑판 floor
선저 외판에 붙는 가로 방향의 뼈대. 실체 늑판 solid floor, 조립 늑판 open floor
• 늑골 frame
선측 외판에 붙는 뼈대. 종늑골, 횡늑골
• 거더 girder
외판의 안쪽에 길이 방향으로 붙는 뼈대 선체구조 부재
• 갑판 deck
갑판보 deck beam 상에 설치되는 일종의 외판. 갑판은 외판과 함께 선체의 수밀 유 지. 중요한 종강도 부재중의 하나이다.
• 격벽 bulkhead
선박의 내부를 가로 또는 세로로 칸막이하는 구조. 위치와 기능에 따라 다양 종격벽, 횡격벽, 수밀 격벽, 부분 격벽 등이 있다.
• 마진판 margin plate
이중저의 측면을 구성하는 판. 만곡부까지의 선저를 보호
• 현측 후판 sheer strake 선측 외판 중에서 강력 갑판의 현측에 붙는 최상부 외판 선체구조 부재
• 갑판보 deck beam
갑판을 버티는 가로 들보
• 갑판 스트링어 deck stringer(stringboard)
현측 후판과 결합되는 강력 갑판의 최외측 부분의 1열의 갑판 세로 보, 종통재 • 필러 pillar 선창이나, 갑판과 갑판 사이에 설치하는 기둥
• 창구 hatch way, hatch opening
창내의 화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갑판구 deck opening 선체구조 양식 Frame system : 뼈대의 배치 방법. 물의 저항 경감하기 위한 선수미 구조, 능파성과 외형의 미를 고려한 상부의 현호, 뼈대는 판의 굽힘을 방지, 선체의 중량을 경감시키기 위한 적절한 배치가 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