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선체 부재의 명칭, 선체 주요 도면, 선체 구조도(용골, 현호, 일반배치도 등등)

by 리하하 2021. 9. 28.
반응형

선박의 부재 

1. 선체 부재의 명칭

선체 부재의 명칭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현호란 선체를 측면에서 보면 최상갑판의 선측선은 곡선을 이루고 있는데, 이때를 선체는 현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선수 쪽을 선수, 현호, 선미 쪽을 선미현호라 한다. 이 현호는 여객선보다 화물선에서 더 크고 또 소형 선박일수록 크다. 캠버는 선체를 정면에서 보면 파도에 의해 유입된 해수의 배수 및 선체의 강도를 위하여 폭 방향으로 갑판이 원호를 그리며 중앙부가 높게 되어 있는데 이 양단을 연결하는 선과 원호상의 최고점 간의 간격을 말한다. 만곡부(BILGE)는 선저와 선측이 연결되는 곡선 부분으로, 대개는 원형을 이룬다. 따라서 이 부분을 BILGE CLRCLE 이라고도 하고, 그 원의 반경을 BILGE RADIUS라 한다. 용골(KEEL)은 선박의 최하부의 중심선을 종방향으로 통과하여 그 앞부분은 선수의 양쪽 측판이 결합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마치 인체에 있어서 척추와 같은 것으로 선박의 종방향 조직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재료이다. KEEL은 그 구조에 의해 방형 KEEL 및 평판 KEEL로 구분된다. 강선에서는 주로 외판의 일부분으로 불 수 있는 평판 KEEL이 사용된다. FRAME은 선체를 인체에 비교하면 KEEL은 척추에, FRAME은 늑골에 해당한다.  FRAME은 KEEL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선체의 횡조직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 횡강력의 주체를 이룬다. FRAME은 갑판 빔의 양단을 지지하여 갑판 상의 중량을 지탱함과 동시에 수밀 등의 외력으로 인해 선측 외판이 변형되지 않도록 외판을 지지하는 보강재 역할을 한다. 선미 골재는 선미는 키를 중심으로 한 전후의 부분을 말하며, 양편의 외판은 용골의 후부에 연결되어 말단 선미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선미에 있어서 점차 뾰족해지므로,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미 골재를 배치한다. BEAM은 선박에서 횡으로 배치되어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고, 선체의 횡 방향의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여기에 갑판을 깔아 갑판 상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필라는 빔과 갑판 또는 내저판과 견호히 고착돼 빔을 지지하고 갑판 상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빔의 지점 간의 거리를 짧게 하여 그 강도를 증가시키고, 또 갑판과 선저를 연결해 선체 단면의 형상을 유지한다. 거더(GLRDER)는 선박의 종 뱡향을 관통하는 종강도 부재로 위치에 중심선 거더, 사이드 거더로 나눌 수가 있다. 늑판(FLOOR)는 이중저 구조에서 선측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횡강도 부재로써 선저의 횡강력을 유지한다. 내저판은 이중저의 상면을 덮고 있는 판을 내저판이라 한다. 격벽은 일반적으로 선내를 종 또는 횡으로 칸을 막는 구조를 격벽이라 한다. 

2. 주요 도면

일반배치도, 중앙 횡단면도, 외판 전개도, 선체 종단 면도를 볼 수가 있다. 우선 일반배치도는 선박의 일반적인 형상과 CARGO HOLD, 각종 탱크, 기관실 및 선실, 각종 장비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중앙 횡단면도는 선체의 중앙부를 횡단하여 각부의 구조와 치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외판 전개도는 외판을 길이 방향으로는 그대로 두고 GIRDER만을 펼친 도면으로, 외판과 늑골과의 관계 위치, 선외 개구부의 위치 및 치수, 외판의 두께 와 접합 방법, 격벽이나 각종 종통재의 외판 결합 등을 나타내는 중요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선체 종단면도는 선체의 종단면, 갑판 및 내저판의 평면 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종통재, 갑판. 빔 등의 치수를 나타낸다. 

3. 선체 구조도 

선체는 항해 중의 파도나 바람 및 화물에 의한 외력 등을 이겨내는데 필요한 강도를 갖추어야 한다. 선체 내부에는 수 개소의 횡격벽을 설치하고, 바닥에는 필요에 따라 이중저를 만들어 선체에 강도를 갖게 하며, 충돌이나 좌초 등의 사고를 당했을 때 침수가 선내의 국부적인 곳에서 멈추게 해야한다. 선체를 구성하는 부재들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또 중량도 가벼운 것이야 하므로, 적당한 간격으로 보강재를 설치하여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을 줄이게 한다. 선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형상, 치수, 재질, 이음 방법들을 일정한 약속에 의해 도면에 표시하는 것이 구조도이다. 선박은 큰 구조물이므로 선수미, 화물창, 기관실 등으로 이루어진 선체를 각 요소별로 나누어 그리게 된다.

댓글